본문 바로가기

신화와 별자리3

양자리의 수메르 신화 양자리는 수메르에서는 쿠말 KU.MAL, 들판에 거처하는 자로, 양치기 두무지 Dumuzi (바빌로니아에서는 탐무즈 Tammuz) 혹은 길가메시 서사시에 등장하는 엔키두(EN.KI.DU)라고 합니다. 사랑과 전쟁의 신 인안나의 남편 양치기 두무지 두무지 Dumuzi/탐무즈 Tammuz는 식물과 생명, 성장의 신으로 전쟁과 사랑의 여신 인안나 Inanna/이슈타르 Ishtar의 남편입니다. 본래 두무지는 우르크의 왕으로 양치기, 목자의 신이었으나 인안나의 사랑을 받으면서 천상과 지상의 생물을 기르고 성장하게 하는 신이 되었다고 합니다. 두무지는 인안나에게 자신의 남성적인 힘을 과시하려고 멧돼지 사냥을 나갔다가 멧돼지의 날카로운 어금니에 받혀 죽어서 명계로 내려갑니다. 이에 인안나는 직접 명계로 내려가 두무.. 2024. 1. 8.
양자리의 기호와 동물 양자리의 기호 애리즈, 양자리는 태양이 황도와 적도가 교차해 낮과 밤의 길이가 같고 추위와 더위가 같은 춘분春分에서 곡우穀雨까지 생명력이 넘치는 봄의 기운을 타고 태어납니다. 양자리의 기호 ♈는 거세하지 않은 숫양의 뿔 혹은 땅을 뚫고 나오는 새싹의 모습입니다. 우리가 잠잘 때 세는 얌전한 양이 아니라 에너지가 넘치고 때론 난폭한 어린 숫양이랍니다. 양의 특성 양은 인류가 가장 먼저 가축화한 동물입니다. 야생 동물 중 가장 먼저 인간이 길들인 동물은 개지만 개는 예나 지금이나 공생 혹은 반려동물입니다. 고기를 얻고 털가죽을 활용하는 등 유용한 목적을 위해 기르는 가축화의 첫 번째는 양입니다. 양고기는 선사시대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유라시아 여러 문화의 중요한 단백질원이고, 양은 인류의 여러 문화에 깊은 .. 2024. 1. 8.
양자리의 별자리 양자리의 별자리 양자리는 춘분(3월 20-21일)부터 곡우(4월 20, 21일)까지 태어난 사람들입니다. 태양은 춘분(3월 20-21일)부터 곡우(4월 20, 21일)까지 양자리를 지납니다. 양자리는 영어 알파벳 'L'을 옆으로 눕혀놓은 듯이 별들이 늘어서 있는 모습입니다. 옛사람들은 이를 어린 숫양의 머리에 박힌 세 개의 별로 보았습니다. 라틴어로 아리에스(Aries), 그리스어로는 Κριός (크리오스)는 숫양자리라는 뜻입니다. 가운데 으뜸별 ‘하말هامال’ 또한 아랍어로 양인데, 전체 별자리의 이름과 구별해서 ‘숫양의 머리(رأس الحمل, ras al-hamal, 라스 알 하말)’라고 합니다. 하말은 2 등성으로 눈에 잘 보이지 않습니다. 밤하늘에서 평균 50번째로 밝은 별입니다. 잘 보이지도.. 2024. 1. 8.